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새마을금고 파산 부도 이야기가 크게 와닿지 않는 이유

경제

by 으르렁 사자 2023. 3. 23. 18:35

본문

반응형

 

처음엔 뭔가 했어요. 새마을금고? 부동산 PF 연체율?

 

새마을금고 부도설이 올라오고 부동산 PF 연체율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런 수치상의 이야기보다

리먼브라더스 파산 때도 국가가 보증해 주고 해결해 준 부분들 때문에 사실 관치 금융 이야기까지 나왔죠.

하지만 그때도 구해줬는데 지금도 혹시라도 잘못되면 새마을금고 크기로 봐도 무서운 이야기죠.

결국 나라가 해결해줄거란 믿음은 깨지지 않을 듯해요.

 

새마을금고의 경우 각 지점별로 되어있고 재무제표를 보면 대손충당금 설정이 기업대출 부분에

상당부분 되어있는 곳이 있어요. 총 자산대비 비율이 10% 미만인 경우도 있으니 제무재표는 꼭 확인해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이번에 알게 된 사실은 예금자보호가 안된다는 사실인데요. 즉 새마을금고 중앙회에서 보증을 해주긴 하지만

5천만 원까지, 어디까지나 중앙회가 건실하다는 가정 아래죠. 새마을금고의 부도설도 지점별로 별도로 움직이니 그 상황을 주시하실 필요는 있어 보여요. 모든 곳이 다 부실이진 않을 테니까요.

 

이렇게 뱅크런을 유도하고 2 금융권의 위기를 이야기하는데 오히려 1 금융권의 부실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죠. 금융감독원이 감독한다고 해서 은행들이 항상 건실한 투자만 하는 건 아니거든요.

 

지금 같은 고금리에는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죠.

 

나만 망하냐, 망하면 다 같이 망하지 않겠냐는 논리에 반대로 나라가 살려주겠지 하는 마음도

섞여있는 게 사실이에요. 이 정도 사이즈의 금융기관이 문제가 생긴다면 큰일이겠지만 그럴까 싶네요.

 

 

 

꼭 경영공시를 챙겨서 보시길 바라요.

내가 맡긴 은행의 재무건전성은 알아야 하거든요.

 

예금자보호준비금도 따로 설정하고 있으니 정말 큰일 아니고서는 문제가 없길 바라야죠.

하지만 모든 금융상품의 판단은 본인에게 있으니 뭐든 두 번 세 번 확인하는 게 필요해요.

 

문제는 뱅크런이죠. 이런 위기감을 조성해서 돈을 빼게 만들면 2 금융권들의 돈이 1 금융권으로 이어지고

중소기업들이 많이 대출하는 2 금융권의 돈들이 경색되게 되죠. 그럼 대출여력이 줄어들고 중소기업들이 자금난에 시달리게 되죠. 투자는 줄고 경기는 또 침체되겠죠.

 

이런 사이클이 참 어려운 판단인 것 같습니다.

파월이 또 금리를 인상한다고 했고, 인플레에 대한 경기가 해결되지 않았다고 보는 거죠.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