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과 경력직은 면접에서도 차이가 있죠.
일단 경력직은 지원서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지원동기입니다.
기존에 회사 잘 다니는데 왜 이직하냐?
이걸 가장 궁금해하죠.
그럴 때 "기존 회사가 안 좋아서, 망해서, 사람이 별로라서'등의 부정적인 사유는 피해야 합니다.
어떤 이유든 이직하는 이유가 "우리 회사가 널 왜 받아야 돼?"로 귀결되기 때문이죠.
그러니까 적어도
불만족을 표현하기보다 같은 이유라고 해도
"점점 회사의 재정이 안 좋아져서 성장성이 좋은 이 회사로 오게 되었다." 라도 표현해야 합니다.
되레 아무 말도 안 해도 무슨 꿍꿍이로 옮기는가
그냥 되도는구먼 안되고 그만인지 오해하거든요.
그래서 가장 중요한 게 이직 사유입니다.
면접에서도 아마 지원동기를 가장 궁금해할 겁니다.
대부분 실무자가 먼저 들어오고 다음 본부장이나 사장이 오게 됩니다.
다대일 면접도 많고요.
그럼 자신의 경력을 이야기하되 과장하지 않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해야 합니다.
실제로 들어가서 그냥 버티고 찾아보면 다 하게 되겠지라고 갔다가
망신은 망신대로 당하고 일도 못해서 평가 못 받으면
인센티브도 못 받습니다.
일단 들어가서 적응할 것 같다면
경력으로 다 할 수 있다고 해도 좋지만요.
무슨 일이든 솔직한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기업에서 본인이 면접 보는 것도 중요한 게
면접자가 우리 회사 별로라고 언급하거나
그 정도로 왜 오는가 갸우뚱하면 가지 않아도 좋습니다.
자신의 회사의 면접자가 부정적인 회사는 미래도 희망도 없습니다.
자신의 업무의 프로세스
그리고 분명히 회사에서 스스로 개선한 점을 물어봅니다.
경력직에게는 그게 중요하거든요
알아서도 스스로 고치고 행동하는 걸요.
신입은 하나하나 가르쳐줘야 하는데
빠르게 적응하는 자세를 보여줘야 합니다.
업무개선 사례 1개쯤은 대비해 두셔야 합니다.
또 예를 들어 회계팀 지원이면
회사의 매출 규모라던지
영업이익,
그리고 기존 회사의 영업이익과 매출 규모도 파악해야 합니다.
회사에 대한 관심이거든요
자기 회사도 모르는데 남의 회사에서 잘할 리 없습니다.
혹시라도 지역이 끈끈한 회사
즉 지역이 작은데 왜 들어가야 하는지 어필해야 하는 회사면
해당 지역 토박이 임을 강조해도 좋습니다.
보통 타 지역에서 오는 경력직은 백에백 이직을 합니다.
친구도 없고 홀로 와서는 더욱더 외롭고
회사마저도 이런 곳에 왔다면서 서울이나 경기도 지역에서
내려온 이들은 백발백중 이직합니다,
안 뽑는 게 맞죠.
반대로 서울로 가기는 지역 출신이 힘드니
지역에 소재한 괜찮은 기업
고향 기업을 노려도 좋습니다.
회사도 오래 다닐 사람을 뽑는 게 좋거든요.
매번 채용하는 것도 일입니다.
연속성도 떨어지고요.
가끔 회계팀에서 분식회계 물어보는 분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대의적으론 지시할 때가 있는데
할 수 있느냐인데
이대답은 어렵습니다.
당연히 해서는 안되지만
회사가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느냐도 넌지시 물어보는 질문으로
당연히 안된다고 하되
대의적인 이유라고 하면 그 이유에 대해서는 물어보고
사장이 지시한다고 하더라도
회사에게도 결국 일시적인 유혹이므로
설득해서 분식회계는 안된다고 해야 합니다.
실제로 그걸 지시해서 할 만한 회사면 안 다녀야 합니다.
결국 여러분이 책임지거든요.
회사는 발 빼면 그만입니다.
간절한 경력직을 희생양으로 쓰기도 하거든요.
그리고 가끔 보면 인사팀이 허접한곳이 있습니다.
면접비도 없고
결과도 안알려주다가
갑자기 일주일전에 발표하고
회사 다음주부터 가능하냐고 하는 막무가내는 걸러야 합니다.
적어도 회사 인계를 포함해서 3주는 대응해야 하고
재촉하는 회사일수록 가지 말아야합니다.
그정도로 안굴러가는 회사는 본인이 가면 뒤짚어 씌우는게 보통입니다.
체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거든요.
면접비 안주는곳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자기 직원에게도 쓰는돈을 아까워한다는 표현이거든요.
분노가 치미는 상급자가 결재하는 유형 (0) | 2021.10.08 |
---|---|
기분 나쁜걸 티내는 후배 (0) | 2021.09.14 |
이직할때 중요하게 생각해야할 점 (0) | 2021.07.15 |
2021년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필기 시험 후기 (3) | 2021.06.24 |
용역 계약 법정경비 정산 (feat. 60세 이상 국민연금) (0) | 2021.01.14 |
댓글 영역